해석은 한꺼번에 많은 양을 쓰게 되면 지루해져서... 보지 않게 되더라구요. 해서 제가 적당히 끊어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꼭 해당 강의 해당 시간은 따라해보시고 봐주셔요!
https://www.youtube.com/watch?v=moxr-7echv0
https://vimeo.com/146931010 - 3분20초
1강에서는 부셔질 협곡(?)을 지정해주는 작업을 할 겁니다!
여기에서 집중적으로 볼 노드는 attribtransfer가 됩니다.
그리드를 적당히 생성해 주신 후
부셔질 범위를 커브로 그려 줍니다. (Top뷰에서 보시고 그리시는게 좋습니다.)
포인트 갯수를 자세히 봐주세요
resample: 여기서는 해당 커브의 포인트 갯수를 늘려주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color2를 검정색으로 설정해주었습니다. color1과 다른 색이기만 하면 되지만 대비가 잘되는 색으로 할 경우에 보기에 좋습니다.
추가 - color2의 R값을 조정하시면 검정이 붉은 색으로 변하면서 attribtransfer의 Cd값에 해당하는 값이 늘어나게 됩니다. - 이 작업은 다음 2강 작업과도 연관성이 있습니다.
color1을 빨강으로 해준이유는 추후에 RGB색으로 그룹으로 나누기 때문입니다. (다른색을 지정해도 됩니다.-> 하지만 후에 네이밍을 하는데 있어서 헷갈리기에 비추천)
attribtransfer는 왼쪽에는 to 오른쪽에는 from으로 되었있습니다. 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값을 가져오는 것이죠!
헬퍼를 보시면 가장 근접한 범위의 속성값을 다른 곳에 속성을 전달하여 준다고 하는데, 여기서는 Attributes에 Points값에 Cd(color)값을 넣어 주었기에
포인트 마다 color1값에 해당하는 값들이 선택 되게 됩니다. 하지만 color1값은 curve1과 resample1에 영향값을 받았기에 영향을 받은 값으로 나오겠죠?
(이게 무슨 뜻인지 보시려면 resample1의 Bypass(노란색)를 켜주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Scatter노드에서 Density Attribute(밀도 속성)값을 지정해 주시면 포인트로 보일 범위를 지정하실 수 있게 됩니다.
현재는 Cd로 지정하였기에 attribtransfer에 영항을 받은 Cd값이 Scatter노드에 표현 되게 됩니다.
추가로 Relax Iterations를 체크해제를 하시면 균등하던 포인트가 랜덤식으로 배치되기에 조금 더 자연스러운 협곡 느낌을 연출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Houdini > Art of Destru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Art Of Destruction in Houdini- 시작 (0) | 2016.01.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