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udini/Ari Danesh(강좌해석)

Ari Danesh_01_hip_해석(1)

아래 필요하신 분들 첨부파일 받아가세요~

Houdini_basics_Ari Danesh_01_1.hipnc

대니쉬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강의 잘 보셨나요? 

혹시나 보고 하다가 막히는 부분이나 궁금했던 부분들을 포스팅으로 남겨 보려합니다. 

처음 파일을 여시면 스피어위에 큐브가 보일 것입니다. 

box_object 1을 클릭해서 들어가 줍시다. (단축키- i) 

그러면 안에 이러한 노드들이 보일 텐데요~

노드에는 4가지 디스플레이기능?이 존재 합니다. 

맨 오른쪽의 파란 눈이 디스플레이/렌더입니다. 기능은 오브젝트를 가시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Tip 지오메트리 채널에서는 하나 밖에 활성화가 안 됩니다.)

그리고 이 merge라는 노드 여타 프로그램에서 보셨듯이 이것도 두 객체를 묶어주는 역할을 해요! 

※ 중요: 후디니는 이어주는 노드 순서가 중요합니다. (지금은 sphere 1이 1번이고 box 1이 2번이네요)

이 기능을 사용하시면 밖으로 나가셔서 (단축키-u)두 오브젝트를 한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분홍색 기능은 마우스 가만히 올려놓고 보시면 템플릿/셀렉테이블이라고 나옵니다.

그 말대로 본보기 보이지 않는 객체를 엣지 상태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엇!? 원래라면 큐브와 스피어가 같이 있어야 하죠.

보시면 맨 오른쪽에 노란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 노란 기능은 Bypass라고 현재 선택된 기능을 활성화/비활성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출처:http://cafe.naver.com/sidefx/218 (후디니스트)

여기서 의문점이 하나 생기실 텐데 그러면 둘 다 사라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 분 계실 거에요. 

하지만 merge 노드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활성화됩니다. (merge의 기능은 두 객체를 묶어주는 것이죠)

아까 순서가 중요하다고 언급했었죠? 1번인 sphere 1은 디스플레이의 영향을 받아 보이게 되고, 2번인 box는 merge가 활성화되지 않아 보이지 않게 됩니다.

순서를 바꿔 보시면 확연하게 눈에 들어 오실 거예요 ㅎㅎ 지금은 box가 활성화되어 있죠?

box 1이 1번이고 sphere 1이 2번이 되어 box가 보이게 됩니다.

대니쉬 선생님 강좌를 보시다가 스피어가 자신의 Y축 가장 끝 부분을 센터로 해서 커지게 되는 현상을 보셨죠?

바로 저 CH("rady")라는 스크립트를 이용해서요. 여기서 CH는 CHanel를 뜻하고요. 채널에 대한 설명은 정재화님의-http://cafe.naver.com/sidefx/4549

그리고 rady는 Radius의 Y축을 뜻합니다. ("")요건 ~ 안에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아요.

나름대로 해석하자면 "채널 안에 반지름 Y축" 정도가 되겠네요. (지금 이 스크립트가 들어간 장소는 Center의 Y축입니다.)

현재 센터가 (0,내 바로 위에 있는 Radius의 Y 값을 가지고 간다 ,0) 입니다.

위의 설명은 스크립트의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스피어가 자신의 Y축 가장 끝 부분을 센터로 해서 커지게 되는 현상을 보셨죠?

여기에 대한 답은 뜻밖에 간단합니다.

스피어의 X,Y축의 센터에 한 번 radx,z를 각각 넣어 보시면 x,z축의 끝으로 스치어가 커지고 작아지는 현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스피어에 반지름을 축으로 가지고 간다는 것만 알아두세요~

그리고 잘 안 들리시거나 못 들으신 분들을 위해 Ctrl+E를 하시면 익스프레션 창이 열립니다.

그리고 box 1에 저런 한 스크립트를 선생님께서 사용하셨는데요 (CH("sized")/2) + (CH("../sphere1/rads")*2)

CH채널, sized 치수 y축, ../sphere1/rads 이건 경로를 시작할 때 ../를 사용해요 

자 이제 조금 이해하기 저에겐 난해했던 부분인데요.

CH("sized")여기 까지 입력하셔서 크기를 조정하시면 상자가 붕붕 떠다닙니다. 이유는 상자의 치수와 센터가 같기 때문인데요!

CH("sized")/2를 해주시면 축이 반비례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상자가 딱 붙어서 커집니다.

자세한건 그림을 참고해주시길~




자 이제 남은 건 (CH("../sphere1/rads")*2)인데요!

그 말대로 스피어 1에 rads값을 불러온 겁니다. 여기서 *는 곱하기인 것 아시죠?

(CH("../sphere1/rads")여기 까지 입력하시고 실행하시면 스피어의 중앙이 중심이 됩니다.

여기서 *2를 해주시면 스피어의 반지름 y축의*2가 되어 상자의 중심이 스피어의 y축 꼭지에 안착하게 됩니다.

여기에 CH("sized")/2를 더해주시면 상자의 선분의 반만큼 중심이 올라가 스피어위에 붙어있는 상자를 보실 수 있게 됩니다!


저도 후디니 초짜라 혹시라도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포스팅도 잘 안 해봐서 폰트라든지 크기라든지 추천해주신다면 감사하게 적용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저도 후디니 쓰려면 수학이 필요하냐는 질문과 영어 잘해야 합니까? 하는 질문을 많이 했습니다.

대니쉬 선생님의 강의를 먼저 보면서 곱씹어서 계속 보시면 차차 무엇이 필요하신지 느끼실 것 같습니다~


대니쉬 선생님의 강좌는 제블로그 오른쪽 아래에 Ari Danesh(필수강좌) 를 클릭하시거나 

후디니스트- 개발사 강좌 http://cafe.naver.com/sidefx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oudini > Ari Danesh(강좌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i Danesh_01_hip_해석(3)  (1) 2015.06.28
Ari Danesh_01_hip_해석(2)  (1) 201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