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01
Houdini version
Production build: 안정화 된 버젼(권장)
Latest daily build: 버그가 픽스 된 최신 버젼
Houdini - hicko live share 주소 \\192.168.123.100
Asset(센터장님) / path는 hicko_liveshare/otls Asset(개인)
icon은 shelf툴의 HICko를 선택
publisher[센터장님]
load[live class]- 파란색은 연결이 되어있다. (라이브클래스 불러오기)
update[live class]- 빨간색은 링크가 끊어져 연결가능 (연결을 끊어주어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save[live class]- publisher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liveshare file의 내용을 저장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 사용자는 다른곳에 저장을 하도록 한다.)
Houdini interface
Edit_Color setting = 후디니 인터페이스의 컬러를 바꿀 수 있다. (센터장님은 White로 하면 화면이 너무 밝아 Dark로 하신다고 한다.)
tip! - 뷰포트의 컬러를 바꾸고 싶다면 단축키 D를 사용하여 바꾸면된다.
File_New = 새 파일 만들기, 다 아는데 왜 설명을 하느냐 거의 사용을 하지말라는 이야기다 따라서 후디니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로 여는 것이 좋다.
(Windows는 별로 크게 상관없는데 Linux환경에서는 주의 해야한다. 왜냐! 보통회사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을 하나만 하지 않고, 기본으로 2~3개정도는 하게 된다.
여러 후디니 파일로 작업을 하게 되고, 복붙을 쓰기고 하고, 후디니의 특성상 퍽 하면 죽는다. (후디니는 죽는게 일상이다 -> 덤덤하게 받아들이시길)
여기서 후디니가 죽는건 상관없지만 멈추어서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를 Freeze라고 하는데 그러면 Linux나 Mac같은 경우 터미널에 가서 파일을 죽여아 하는데
Task manger를 띄워서 보면 모든데에 후디니라 되어 있어 뭘 죽여야 할지 모른다. 해서 터미널에서 'houdini 파일명' 을 치면 file 이름이 적힌다.
이렇게 하면 죽이기가 쉽기에 이렇게 습관을 들이시길!
File_save = 저장은 houdini_z에 하도록/후디니는 저장을 할 경우 backup이라는 폴더가 생긴다.
Auto Save는 1분 간격으로 저장 된다.
05/01 센터장님의 어록중
Help equal Bible
Don't watch the soap opera in your sell phone instead of the help
/
Pane 페인은 무엇이냐 (전 처음에 pain이라 하시는 줄..) 후디니의 view의 종류를 뜻하며 scene vies, parameters view, text port 등등의 창 들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미 알고 있지만 후디니는 node base이다. 마치 레고의 부품은 node하나와 같으며 node하나가 발휘하는 기능은 완성품이나 같다.
오른쪽 마우스 클릭으로 pane을 바꿀 수 있다.
이날은 Obj 섹션만 배움 - obj만 render가 가능하다. shop으로 보내야만 렌더가 가능 (한 번 질문)
Edit - preferences - Genera User interface (Global UI size: UI Size조절) : ' Hotkey-ctrl + , '
Pane의 종류
Tree view : 계층 구조를 한꺼번에 볼 수 있는 뷰
Context View : 선택된 창에 맞게 창을 바꾸어 보여주는 뷰
Geometry Spreadsheet : points, vertics, primitive, detail의 상세정보나 위치를 볼 수 있는 곳
Take List : 파라미터를 수정해서 take1, 2 ,3.... 로 여러가지의 값을 볼 수 있는 곳
Textport : 익스프레션 Hscript
Python Shell : Hython
Bundle List : 모든 노드의 그룹
Performance Monitor : 노드 실행 시간을 보기위한 노드
Help Browser : God
Orbolt Asset Browser : 무료만 쓰세요^^
Split pane Left/Right, Top/Bottom
pane을 분리 왼쪽, 오른쪽, 위, 아래
Hot key : alt + [, ]
Close pane
pane을 닫는다.
Hot key : alt + /
shop : shader operator 를 뜻하구요, shader짜거나 그런거 하는곳, 텍스쳐 넣는거 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obj만 렌더가 가능하다는 건 dop에서 작업하던 어디서 작업하던 렌더는 obj level에서만 할 수 있다.
Windows_Desktop_Save Current As.. My desk top : 커스터마이징 뷰포트 저장
Genera User interface_Build..My desk top : 커스터마이징 뷰포트 불러오기
Maximize Pane = ctrl+B : 뷰포트로 채우기
P = Parameters 창 띄우기
시뮬시에 꼭 realtime 사용하기
05/01 센터장님의 어록중
Hotkey를 외울바에 시뮬레이션 횟수를 줄이는게 좋다. (차라리)
Space + 1,2,3,4,5 = 뷰 보이는 곳 1_persp 2_top 3_front..
viewport mode는 두개의 모드가 있다. view 모드와 cam모드 커서가 화살표, 손바닥
Following selection
: 동기화를 해제 하고 다른 주파수를 쓰는 도구
Drag this to another pane to set its path to /object
: 노드를 끌어다가 놓으면 보이게끔 하는 것
Render Region
:부분렌더 (이하생략)
Inspect. Right-click for option
: 점검기능 object등등의 경로와 정보를 볼 수 있다.
Sample
Hscript=mel script의 일부 ->Hython<<<HDK
Houdini 3 Point
3 point 라이팅이란 Key lighting, Fill light, Rim light 이렇게 세가지의 light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Key light - 그말대로 중요한 라이트 Key light이 없으면 Fill light도 없다. 빛이 들어오는 방향을 정해주는 light이라 보면 된다.
Fill light - Key light의 역방향에 diffuse shadows를 넣어주고 object 전체적으로 윤곽을 볼 수 있도록 깔아주는 light
원래 object에 light가 없으면 아예 검게 렌더가 되야 정상이다. 때문에 Key light가 들어오지 못하는 obj뒷부분은 아예 검게 나와 버리는 현상이 되어 버린다.
느와르 느낌의 영화를 연출한다면 Key만 깔아서 대비를 강조해도 되겠지만, soft하게 영상을 가져가고 싶다면 fill light를 기본적으로 까는게 기본이다.
Rim light - rim light이 생긴 이유는 흑백영화에서 붉은 벽돌에서 red hair인 여배우가 연기를 하게 되면 머리색와 벽이 구분이 가지 않아 여배우의 헤어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rim light으로 윤곽을 주기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흑백영화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데 흑백영화에서 우리는 대충 컬러를 파악할 수 있다.
이유는 색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밝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색의 물체끼리 있다면 밝기가 비슷하여 거의 구분을 할 수 없다. 그걸 방지하기 위해서 rim light을 사용했던 것이다.
luminance Y라고 하는데 red=0.2126 + green=0.7152 + blue=0.722 rim light를 주로 red로 쓴다.
R=Key Light G=Fill Light B=Rim Light
마치 Key light과 Fill light이 바뀐 느낌이 난다. 따라서 red color는 Rim light을 사용한다.
Intensity = 세기, 강도
tip- shadow방향에 얼추 맞으면 light을 단독으로 넣어도 어색하지 않다. shadow방향으로 light이 들어오는 방향을 구분 짓는다.
또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light를 심는다! 거의 어떠한 상황이라도 이를 기준으로 한다.
View는 3 quarter view를 기준으로 맞춰주는 데 이 뷰를 얼짱각도라고 한다.
이유는 object의 앞옆위를 전부 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예쁘게 전부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Hot key : Space-H
Day for night
낮 시간에 밤 장면을 촬영하는 것. 할리우드에서 시작하여 이를 아메리칸 나이트(American night)라고도 한다. 하늘을 어둡게 만드는 레드 필터 또는 옐로 필터를 흑백 영화에 쓰는 것이 가장 적당하며 컬러에서는 그라드 필터 혹은 점층 농도 필터(graduate neutral density filter)를 사용한다. 가장 이상적인 시간은 햇빛이 내리쬐는 청명하고 맑은 시간이며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는 긴 그림자가 드리워지므로 적당하지 않다.
카메라 앞에 파란색 셀로판지 같은 것을 대고 찍으면 마치 밤처럼 연출이 된다.
그 당시 카메라가 야간 촬영시에는 거의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식으로 촬영을 하였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데이 포 나이트 [day for night] (영화사전, 2004. 9. 30., propaganda)
자물쇠 라이팅 포지션 정하기!
'HICko > S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udini_basic_class 05/15_("Vector_File") (0) | 2016.05.15 |
---|---|
Houdini_basic_class 05/14 ("Vertices,ptnum") (0) | 2016.05.14 |
Houdini_basic_class 05/15_("Vector_float") (0) | 2016.05.09 |
Houdini_basic_class 05/08_("Attribute") (0) | 2016.05.08 |
Houdini_basic_class 05/07_("Pane") (0) | 2016.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