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 4. 공이 마룻바닥과 충돌하여 튀어 오르는 경우 속도 v1, v2높이 h에서 자유 낙하한 공이 마룻바닥에 충돌한 후 h'까지 튀어 올랐다면 충돌 전의 속도 v=-sqrt(2gh)=-gt, 충돌 후 속도 v'=sqrt(2gh')=gt'이므로 반발 계수 e는 다음과 같다. e=-v'/v = sqrt(2gh')/sqrt(2gh) = sqrt(h'/h) = t'/t 이때 튀어 오르는 높이 h'과 h'까지 올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 t'은 각각 h' = e^h, t'=et가 된다. 따라서 높이 h에서 자유 낙하시켜 공이 정지할 때까지 운동한 총 거리 s는 s=h+2e^2h+2e^4h+...=h+2h(e^2+e^4+...) s=h+2he^2/(1-e)=(1+e)t/(1-e) 또한 완전 탄성 충돌(e=1)에서는 h'=.. 더보기 Houdini_basic_class 07/17_("chop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Tornado_sop 이 강의를 보면서.. 강의자의 심각한 삽질에 은근히 짜증이 났다. 강의자는 geo-box를 사용해서 거리를 맞추었는데, 방법은 geo의 트랜스레이트 값을 조절하고, box의 스케일 값을 늘려서 조정하였다.나는 차라리 box에 translate노드를 달아서 y축 pivot에 y축 scale/2를 해서 스케일에 따라서 센터 값이 world좌표에서 0 0 0에 위치 할 수있도록하고, measure노드를 사용하였지만 왜 프라미티브 면적 값이 필요한지는 아직 모르겠다. (설마!.. 프라미티브 번호를 확인하려고 사용하였다면, 그냥 지오메트리 스프레드시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blast는 4 5값을 group에 입력, group값이라 익스프레션이 못쓰여서 자동으로 위면 아랫면을 구해주는 패턴은 생각이 나지 않는다.(..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31 다음